반응형

 

1. 사전 준비

JDK 11버전을 설치해둡니다.

IntelliJ도 설치를 해 둡니다.

 

2. start.spring.io 페이지에 접속하여 아래와 같이 세팅 후 Generate 를 클릭하여 Spring 프로젝트를 생성 및 다운로드 받습니다. 

 

3. 원하는 곳에 압축을 풀고 IntelliJ를 이용하여 build.gradle파일을 열어줍니다.

.

4. Run하고 localhost:8080에 접속하여 에러 페이지가 나오는지 확인합니다. 아래와 같이 나타나면 정상설치가 된 것입니다.

5. 실행환경 변경

Settings에서 gradle로 검색하여 아래의 2가지 옵션을 gradle에서 IntelliJ IDEA로 변경해줍니다. 

 

6. hello 페이지 만들기

Project View에서 src/main/resources/static 폴더 안에 index.html파일을 만들고, hello world를 출력하도록 문서를 작성합니다.

7. 재실행 후 접속

프로그램을 재 실행하여 아래와 같이 나타나는지 확인합니다.

 


 

이상  Spring Boot 처음 시작부분을 정리해보았습니다. 

 

~~ 끝~~

반응형
반응형

1. JDK 설치

2. STS(Spring Tool Suit) 다운로드 및 설치

spring.io/tools 사이트로 이동하셔서 본인의 OS에 맞는 파일을 다운받아 설치합니다. 

최근에 실행파일이 .jar로 바뀐 것 같은데요... java가 깔려있다면 실행되며(압축풀림) 폴더 하나가 생기게 됩니다. 안되면 cmd에서 실행해야합니다. (java -jar 받은파일명.jar)

팁으로....탐색기의 경로에 cmd를 곧바로 치면 해당 폴더에서 커맨드가 열립니다.

 

폴더 안에 SpringToolSuite4.exe 실행파일을 실행하시면 설치없이 실행됩니다.

3. 프로젝트 생성

4. 폴더 구조

5. 파일 수정(DemoApplication.java)

package com.example.demo;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SpringBootApplic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

@RestController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DemoApplication {
	
	@RequestMapping("/")
	String home() {
		return "Hello World!";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DemoApplication.class, args);
	}

}

6. 실행

- 끝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