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버크셔 해서웨이는 투자의 귀재 워렌 버핏이 이끄는 세계 최고의 투자회사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꽤나 유명한 회사인데요, 구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만큼은 아니지만 워렌버핏 회사 하면 대부분 고개를 끄덕입니다. 오늘은 이 버크셔 해서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

     

    비즈니스

    버크셔 해서웨이는 1839년 섬유 제조회사로 시작했습니다. 1962년 워렌버핏이 주식매입을 통해 경영권을 얻게되었고, 그후 다양한 업종의 기업과 M&A를 통해 지금의 다국적 지주회사로 성장하게 되었습니다. 개요버크셔 해서웨이는 미국의 지주회사로서 보험업과 제조업 등 다양한 사업을 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매출은 금융업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자회사인 BNGO(Berkshire Growth)라는 헤지펀드 운용사의 수익률이 매우 뛰어나기로 유명한데요, 최근 5년간 연평균 수익률이 무려 25%라고 합니다. 또한 자산운용사와는 달리 직접 주식투자를 하는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사업부문

    버크셔 해서웨이의 사업구조는 보험업, 철도 및 유틸리티, 제조업, 빌딩 및 소비재, 소매 및 서비스업 등의 자회사 운영과 투자 포스톨리오로 수익을 냅니다. 

     

    1. 보험업

    버크셔 해서웨이의 보험 부에는 자회사로 개인용 및 기업용 보험이 포함된 GEICO, General Re, Berkshire Hathaway Primary Group, Berkshire Hathaway Reinsurance Group 등이 있습니다. 이들 자회사들은 손해보험, 재보험, 자동차 보험 등 다양한 보험 상품을 제공하며 각의 분야에서 수익을 창출합니다.

    2. 철도 및 유틸리티

     

    주요 자회사인 BNSF(Burlington Northern Santa Fe) 철도사업은 북미 지역에서의 화물 철도 이동을 제공합니다. 유틸리티 사업은 Berkshire Hathaway Energy이며 전기 및 가스 유틸리티, 파이라인, 전력 전송 라인 등을 포함합니다.

    3. 제조업, 빌딩 및 소비재

    버크셔 해서웨이는 제조업, 빌딩 및 소비재에서 다양한 자회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에는 러빅스, Marmon, Internationalworking Companies, Precision Castparts Corp., Lubrizol, Fruit of the Loom, Cocoa Cola, Procter & Gamble 등이 포함됩니다.

    4. 소매 및 서비스업

    버크셔 해서웨이는 내구 소비재 및 세계적인 브랜드 제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 매출 비중은 낮지만, 안정적인 수익원으로 작용합니다. 소매자회사들는 Pampered Chef, See's Candies, 자동차 판매 회사인 Berkshire Hathaway Automotive 등이 있습니다.

     

    5. 금융 서비스와 금융 투자

    버크셔 해서웨이는 미국 및 해외 기업에 리스 및 대출 제공을 위해 CFSC, CLGS와 같은 금융 서비스 기업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경영 철학

    버크셔 해서웨이를 알아볼 때에는 단순 사업부문 뿐만 아니라 경영 철학에 대해 알고있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워렌버핏은 "모든 사업장은 장기적으로 볼 때, 이익이 높은 사업이 아니면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라는 철학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버크셔 해서웨이는 주로 장기적인 시각으로 사업을 진행하며, 미래에 가치가 있는 기업에 투자합니다. 그리고 높은 경영능력과 뛰어난 재무상태를 가진 기업에 투자합니다. 또한 투자한 기업의 경영에 개입하지 않고 기업의 경영진에게 자유를 줍니다. 이러한 철학으로 버크셔 해서웨이는 성장을 이어가며, 현재의 대형 투자회사로 자리잡았습니다.  

     

    투자지표

    종가 339.82 PER(배) 97.97 PSR(배) 2.34 배당수익률 0.00%% 투자의견 Hold 섹터 금융
    액면가 0.0033 PBR(배) 1.47 PFCF(배) 32.28 결산월 12월 목표주가 - 재무통화 USD

    실적

     

    마무리

    버크셔 해서웨이는 워렌 버핏의 경영철학을 바탕으로 운영되는 대표적인 투자회사입니다. 단순한 경영철학과 성장 전략으로 꾸준한 성장을 이어가며 현재의 대형 투자회사로 자리잡았습니다. 이러한 경영철학과 성장 전략은 많은 기업들에게 교훈을 주고 있습니다. 다만 경제 상황이 심각했던 코로나 팬데믹의 기간동안은 다소 미미한 성장률을 보였는데,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는 대신 주주가치를 최우선으로 하여 주가가 하락할 때 자사주를 매입 소각하는 주주 친화적 경영의 모습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경영진이 계속 이어지는 한 버크셔 해서웨이는 계속 건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최근에 좀 바빠서 포스팅을 못했네요. 30프로 이상의 수익을 안겨주었던 몽고DB를 매도하고 다음 목표를 살펴보다가 테슬라를 매입하게 되었습니다. 타이밍이 좋았던 건지 사자마자 또 올라주네요. 하지만 대형주인만큼 몽고DB나 이전의 엔비디아, AMD처럼 급격한 상승을 보여주지는 못하겠죠? 미국주식 장기투자한다면서 다시 마음이 조급해지는데... 다시 맘을 다잡아야겠습니다.

    보유 보유주식수 1주당 평균매수가 매수금액 현재가($) - 6/18
    합계     667.8373742 711.85 6.590%
    넷플릭스 0.271896 377.90 102.7494984 117.45 14.31%
    메타 플랫폼스 0.370747 261.17 96.8279940 104.18 7.59%
    알파벳 A주 0.793873 124.02 98.4561295 98.07 -0.39%
    아마존닷컴 0.754145 119.99 90.4898586 94.64 4.59%
    테슬라 0.333087 229.75 76.5267383 86.78 13.40%
    애플 0.392643 175.96 69.0894623 72.61 5.10%
    코스트코 홀세일 0.075015 496.30 37.2299445 39.28 5.51%
    버크셔 해서웨이 B주 0.114227 325.92 37.2288638 38.64 3.79%
    레이시온 테크놀로지스 0.312657 95.28 29.7899590 30.56 2.58%
    스타벅스 0.144416 106.84 15.4294054 14.71 -4.66%
    월트디즈니 0.08784 93.48 8.2112832 8.02 -2.33%
    마이크로소프트 0.020178 287.85 5.8082373 6.91 18.97%

    마이크로소프트 주식이 역시 꾸준히 오르고 있네요, 그 돈도 어딘가에 투자되어 들어갔지만, 역시 미국주식은 꾸준히 갖고있으면 우상향한다는걸 다시 한번 깨우쳐주네요.

    반응형
    반응형

     

    엔비디아와 AMD가 갑작스럽게 올라서 급히 팔아버렸습니다. 요즘 워낙 뜨거운 이슈가 되고 있고, PER이 높네 낮네 말이 많아서 왠지 불안해졌습니다. 계속 갖고 있어소 26%정도의 수익이면 나쁘지 않겠다고 생각해서 팔았습니다. 또한 스타벅스, 월트디즈니, 마이크로소프트를 매도했습니다. 스타벅스는 좀 타이밍 실수를 한것 같네요. 그냥 갖고 있어도 될걸 수수료만 떼인것 같은 느낌입니다.

    판 돈으로 몽고DB, 넷플릭스, 메타, 알파벳, 애플을 샀는데, 그 중에서도 몽고DB와 메타에 큰 비중을 두고 아래와 같은 포트폴리오를 만들었습니다. 잘은 모르겠지만 몽고DB는 사자마자 30%가까오 오르는데, 매도 타이밍을 벌써 고민하게 만드네요.

    보유 보유주식수 1주당 평균매수가 매수금액 현재가($) - 6/2 현재가($) - 6/3
    합계     176.1804186 631.61 3.100% 682.59 7.410%
    몽고DB 0.120856 276.61 33.4299782 34.25 2.45% 115.16 33.53%
    넷플릭스 0.178142 365.05 65.0307371 109.61 68.55% 108.89 5.97%
    메타 플랫폼스 0.055784 255.27 14.2399817 14.62 2.67% 101.07 4.37%
    알파벳 A주 0.483344 124.11 59.9878238 60.23 0.40% 98.97 0.52%
    애플 0.265421 174.10 46.2097961 46.56 0.76% 71.05 2.83%
    아마존닷컴 0.420279 115.16 48.3993296 50.48 4.30% 52.22 7.89%
    코스트코 홀세일 0.075015 496.30 37.2299445 38.05 2.20% 38.45 3.28%
    버크셔 해서웨이 B주 0.114227 325.92 37.2288638 36.62 -1.64% 37.64 1.10%
    레이시온 테크놀로지스 0.312657 95.28 29.7899590 29.16 -2.11% 30.04 0.84%
    스타벅스 0.715743 106.84 76.4699821 70.52 -7.78% 14.37 -6.87%
    월트디즈니 0.398267 93.48 37.2299992 35.16 -5.56% 7.97 -2.89%
    마이크로소프트 0.089531 287.85 25.7714984 29.8 15.63% 6.77 16.51%
    엔비디아 0.121017 307.64 37.2296699 47.13 26.59%    
    AMD 0.370957 100.36 37.2292445 47.12 26.57%    
    로블록스 0.912347 42.44 38.7200067 36.6 -5.48%    
    반응형
    반응형

    월트 디즈니는 미국을 대표하는 대형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영화, 애니메이션, 그리고 캐릭터등을 생산해 배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디즈니의 실적은 그다지 좋지 못했는데요. 오늘은 월트 디즈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비즈니스 개요:

    디즈니는 영화와 애니메이션, 픽사, 마블, 스타워즈, 내셔널 지오그래픽, 폭스 영화, TV 프로그램 사업을 하고 있는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OTT서비스인 디즈니+ 에서 모든 컨텐츠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테마파크 디즈니랜드와 같은 사업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OTT는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플랫폼으로 사용자가 원할 때 방송을 보여주는 VOD 서비스입니다. 어원은 'Over The Top'으로 '셋톱박스 너머'라는 뜻입니다.)

     

    기업명 : 월트 디즈니 컴퍼니(The Walt Disney Company)

    설립일 : 1923년

    본사 : 미국 캘리포니아 버뱅크

    CEO : 밥 아이거

    시가총액 : 약 1,613억 달러

    현재 주가 : 88.29달러(2023.05.28)

     

    사업부문:

    디스니의 사업부문은 4개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소비자 직접제공 및 인터내셔널: 디즈니+, ESPN+, Hulu, Hotstar, Star+등 스트리밍 서비스, 케이블TV채널, 극장 영화, 홈비디오, 디지털 판매 및 렌탈, 국제 사업을 담당.

    - 스튜디오 엔터테인먼트: 극장영화, TV 프로그램, 뮤지컬, 게임, 출판물 등 제작 및 배포

    - 미디어 네트웤 : ABC, ESPN, Freeform, FX, 내셔널 지오그래픽 등 케이블 TV 채널, 방송국, 라디오 방송국, 신문, 잡지 등

    - 파크, 익스피리언스 및 소비재: 디즈니랜드, 월트디즈니월드, 디즈니 크루즈 라인, 디즈니 리조트, 디즈니 테마파크 등

     

    투자지표:

     

    실적:

    2022년 매출 실적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백만달러)

    대신증권 제공

    22년 3분기(회계년도 4분기) 실적 발표이후 충격으로 인해 -13%주가가 하락하기도 했는데요,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 기존의 CEO였던 밥 아이거를 다시 편입하기도 하였습니다. 최근까지의 CEO였던 밥 차펙은 테마파크 운영 등에 강점이 있었지만 코로나의 영향으로 해당 사업이 부진하고 있을 때 스트리밍 서비스에 힘을 실어주었습니다. 디즈니 플러스는 넷플릭스의 대항마로 떠오르면서 크게 성장하기도 하였지만, 운영 손실이 너무 큰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결국 3분기 어닝쇼크 이후 퇴진하기에 이르렀습니다. 

    개인적인 감상:

    작년의 실적발표 이후 특단의 조치로 밥 아이거가 다시 CEO에 선임되었고, 밥 아이거는 그에 따라 구조조정을 실시했습니다. 이에 주가도 다시 올라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23년 1분기 실적부터는 다시 상승세를 이어가고 현재(23년5월)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가장 문제가 되고있는 디즈니+ 역시 24년 상반기부터는 흑자 전환시키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컨텐츠 방면에서 많은 소비자들로 외면을 당하고 있는것이 문제입니다.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와 스타워즈 시리즈가 있지만 이렇다할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고 있습니다. 정치적인 이슈에 자주 개입되는 모습도 소비자들로 하여금 떨어져나가게 되는 원인 중의 하나로 꼽히고 있습니다. 이 부분은 바뀐 CEO를 통해 어느정도 개선되리라고 보여집니다만, 컨텐츠에 대해 어떤식의 해결책을 갖고 헤쳐나갈지 지켜봐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10만원정도 추가 투입해서 알파벳 8만원과 페이스북 2만원어치를 샀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수익이 15%정도 나서 대부분 매도하고 넷플릭스하고 애플을 샀습니다. AI와 메타버스 관련주들만 가득해서 브랜드 가치를 찾아 애플을 샀고,  최근 넷플릭스 / 월트디즈니도....미리? 사두었습니다. (너무 빠른가...ㅠㅠ. 디즈니 관련 정보가 있어 링크를 남겨드립니다.). 스타벅스와 레이시온은 좀 고점에서 산 것 같은 느낌입니다. 우선 배우는 자세로 지켜보도록 하겠습니다. 다행히도 운좋게 엔비디아와 AMD를 갖고있네요. 비율은 좀 적지만 효자노릇을 했습니다. 

    보유 보유주식수 1주당 평균매수가 매수금액 현재가($) - 5/19 현재가($) - 5/22 현재가($) - 5/27
    합계     140.4614163 537.62 3.421% 530.23 -1.375% 643.79 21.417%
    스타벅스 0.715743 106.84 76.4699821 76.65 0.23% 75.52 -1.24% 70.52 -7.78%
    넷플릭스 0.178142 365.05 65.0307371 13.78 8.06% 13.56 6.33% 67.49 3.78%
    알파벳 A주 0.483344 124.11 59.9878238         60.23 0.40%
    아마존닷컴 0.420279 115.16 48.3993296 49.66 2.59% 48.86 0.94% 50.48 4.30%
    엔비디아 0.121017 307.64 37.2296699 38.34 2.97% 37.83 1.62% 47.13 26.59%
    AMD 0.370957 100.36 37.2292445 40.04 7.54% 39.25 5.43% 47.12 26.57%
    애플 0.265421 174.10 46.2097961     0.75 -0.46% 46.56 0.76%
    코스트코 홀세일 0.075015 496.30 37.2299445 37.36 0.36% 37.25 0.04% 38.05 2.20%
    버크셔 해서웨이 B주 0.114227 325.92 37.2288638 37.67 1.17% 37.74 1.36% 36.62 -1.64%
    로블록스 0.912347 42.44 38.7200067 38.38 -0.87% 36.5 -5.27% 36.6 -5.48%
    월트디즈니 0.398267 93.48 37.2299992 37.34 0.29% 36.38 -2.27% 35.16 -5.56%
    몽고DB 0.120856 276.61 33.4299782 35.01 4.73% 33.26 -0.51% 34.25 2.45%
    마이크로소프트 0.089531 287.85 25.7714984 103.33 10.65% 103.27 10.58% 29.8 15.63%
    레이시온 테크놀로지스 0.312657 95.28 29.7899590 30.06 0.89% 30.06 0.89% 29.16 -2.11%
    메타 플랫폼스 0.055784 255.27 14.2399817         14.62 2.67%

    *초록색: 추가 매수, 빨간색: 부분 매도

    반응형
    반응형

    [이 글은 주식을 전혀 모르는 초보가 공부하며 정리하고자 적은 내용입니다. 투자 판단에 유의하세요]

     

    오늘은 이미 핫했지만 AI로 뜨고나서 더욱 더 핫해진, 말이 필요없는 기업 엔비디아(NVIDIA)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금 글을쓰고 있는 23.05.25일 프리마켓(개장 전 시장거래)에서 20%이상 오르는 기염을 토해내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챗봇 chatGPT 열풍에 힘입어 AI그래픽카드의 수요가 늘어나 분기(2~4월) 실적으로 증명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긍정적인 실적 가이던스를 발표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거기다 CEO는 하반기에도 계속 실적이 좋아질거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계속 주시해봐야할 기업인것 같습니다.

     

    비즈니스 개요:

    엔비디아는 1993년 대반의 젠슨황과 미국인 커티스 프리엠, 크리스 말라초스키 3명이 설립하였습니다. GPU를 생산하는 다른 업체인 AMD와 전세계 외장형 GPU 시장을 양분하고 있습니다. 최근 AI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GPU에 대한 소요가 급증했으며 그 덕을 톡톡히 보고 있는게 바로 엔비디아와 AMD죠. 이 두 회사는 AI뿐만아니라 클라우드, 메타버스, 게임에도 관련된 종목이므로 앞으로의 성장이 더욱 기대됩니다.

     

    기업명 : 엔비디아(NVIDIA)

    설립일 : 1993년 4월

    본사 : 미국 캘리포니아 산타클라라

    CEO : 젠슨황(대만출신)

    시가총액 : 약 7,543억 달러

    현재 주가 : 383.31달러(2023.05.25)

     

    사업부문

    - Automotive : 자율주행 차량용 AI반도체 제공

    - Datacenter : AI반도체 및 GPU 제공.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의 고객을 대상으로 약 80% 시장 점유

    - Gaming : Geforce시리즈로 알려진 PC용 외장 GPU. 게임기분야도 일부 있으나, AMD가 대부분 장악함

    - Professional Visualization : AR / VR 전문 그래픽 시각화

     

    재무제표

    주요지표 [출처: 대신증권]

     

    투자지표 

     

    개인적인 감상

    엔비디아는 GPU수요가 계속되는 한 장기적으로 상당한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AI반도체 시장에서 클라우드 업체들의 경쟁으로 AI반도체 수요가 증가할 것이고, 이제 시작되는 자율주행시장은 아직은 비중이 적지만 성장률이 말해주듯 또다른 AI반도체 시장이자 수익 사업분야로 자리잡을 것입니다. 게임 시장에서의 수요는 상황에 따라 증감이 있겠지만 GPU가 필수적인 메타버스 암호화폐 분야가 본격적으로 성장하게 되면 또다른 긍정적 요소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 글은 주식을 전혀 모르는 초보가 공부하며 정리하고자 적은 내용입니다. 투자 판단에 유의하세요]

     

    로블록스 (RBLX) 회사 및 주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즈니스 개요:

    최근 급격히 인기가 상승했던 로블록스는 주로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게임들을 제작하는 게입 개발회사이자 게임 플랫폼 이기도 합니다. 로블록스 플랫폼 안에서 사용자는 게임을 프로그래밍하고 다른 사용자가 만든 게임을 즐길 수 있습니다. 로블록스는 2010년대 하반기에 빠르게 성장하다가 코로나19유행으로 더욱 크게 성장하였습니다. 게임 안에서는 가상의 아바타와 소셜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다른 유저들과 소통할 수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약 1억명이 넘는 유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004년에 설립하고 2006년에 출시한 이 플랫폼은 루아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딩되었습니다. 자체 게임엔진인 로블록스 스튜디오를 사용하여 자신만의 게임을 만들 수 있습니다. 

     

    기업명 : 로블록스(Roblox)

    설립일 : 2004년

    대표제품&브랜드 : 피기, 입양하세요!

    본사 : 미국 캘리포니아 샌머테이오

    CEO : David Baszucki(데이비드 바스츠키), 에릭 카셀(사망)

    시가총액 : 약 224억 달러

    현재 주가 : 39.81달러(2023.05.22)

     

    사업부문

    - 로블록스 클라이언트(Roblox Client) : 로블록스 클라이언트 안에서 게임도 즐기고, 근처의 사용자들과 의사소통하는 SNS활동을 즐긼 수 있습니다. 

    - 로블록스 스튜디오(Roblox Studio) : 코딩지식 없이도 활용할 수 있는 로블록스 전용 게임제작 툴이에요. 여기서 본인이 만든 게임을 다른사람이 로블록스 클라이언트에서 즐긴다면 수익을 벌어들이게 되요.

    - 로블록스 클라우드 : 로블록스 클라이언트와 스튜디오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클라우드를 통해 모바일, 데스크탑, 콘솔에 동시에 발매가 됩니다. 현재 아마존 AWS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수익구조

    로블록스의 수익구조는 두가지입니다. 첫째는 가상통화를 판매해서 얻는 판매수익입니다.  Robux라는 가상통화는 게임 내에서 아이템 구매를 위해 통용되는데, 이 robux를 판매하여 매출이 발생합니다. 두번째는 광고수익입니다. 게임 내부에 광고를 게재하여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재무제표

    주요지표 [출처: 대신증권]

     

    투자지표 

     

    개인적인 감상

    상장한 2021년부터 코로나 기간인 2022년까지는 지속적인 상승을 보여주었으나, 현재는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도 하락과 함께 주가도  많이 낮아져서 현재는 40달러 안팍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다행히도 업체의 매출은 계속 증가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광고비용, 게임개발 및 운영에 필요한 비용 및 그에따른 이자비용 등이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흑자 전환에는 조금 시간이 걸릴 것 같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메타(META)는 많이들 아시듯이 Facebook이 기존의 소셜미디어 사업분야에만 머물지 않고 VR과 같은 메타버스 분야로 영역을 확장한다는 목표를 갖고 2021년 변경한 사명입니다. 그러나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던 가상현실, 메타버스의 인기는 빠르게 시들고 있습니다. 경기가 어려워지면서 현실적인 어려움에 닥친 기업들은 당장의 메타버스 계획을 일단 보류하고 다른 분야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대신 AI분야가 가장 크게 이슈로 떠올랐죠.

    메타 역시 이에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최근 가상현실 플랫폼 이용자수가 급감하면서 주가 역시 크게 하락했습니다. 메타(Facebook)은 가장 유명한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중의 하나인 React를 개발한 업체이기도 한데요. 지금은 인공지능쪽으로 무게중심을 옮기겠다고 발표하였고, 현재는 대규머 언어모델인 '라마'(LLaMA)를 23년 2월에 공개하기에 이르렀습니다. 현재의 주가는 아쉽지만,  언젠가 다시 한번 부상했으면 좋겠습니다. 

     

    비즈니스 개요:

    기업명 : 메타(META)

    설립일 : 2004년2월

    주요사업 : 플랫폼 광고 사업, 메타버스 사업,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사업 등

    본사 : 미국 캘리포니아 멘로파크

    CEO : 마크 저커버그

    시가총액 : 약 5,434억 달러

    현재 주가 : 244.20달러(2023.05.22)

     

    사업부문 / 수익구조

    메타는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가상현실기기인 메타퀘스트 등을 사업으로 하는데, 주 수입은 역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에서부터 나오는 광고와 지불 및 기타 수수료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주요 재무 지표

    주요지표 [출처: 대신증권]

     

    투자지표 [출처: 한국투자증권]

     

    META는 메타버스 사업으로 크게 투자했었고, 시장은 그에 따라주지 못하면서 주가가 많이 떨어졌었습니다. 하지만 계속 악재만 이어지지는 않을 것입니다. 메타버스 사업을 점차 정리하고 과감한 구조조정을 단행했습니다. 그리고 인공지능 사업 강화 등을 통해 다른 사업군으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지요. 22년 4분기 매출이 전년대비 4%줄긴 했지만 월가 전망치를 크게 웃돌면서 주가가 상승하였고, 올해 1분기 예상치도 좋았습니다. 앞으로 어떤 전략을 갖고 나타날지, 그리고 흐름이 다시 역전될지 계속 지켜보아야 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