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포스팅에서 설치한 XAMPP를 이용하여 MySQL을 실행하고 진행하겠습니다. XAMPP에서 Apache와 MySQL을 Start 해 줍니다. (Apache를 실행해야 MySQL 서버가 실행됩니다.)
다음으로 커맨드 창을 열고 비밀번호를 설정해 줍니다.
그리고서 XAMPP 컨트롤 창의 MySQL의 Admin 버튼을 누르거나 직접 URL을 입력하여 phpmyadmin사이트로 이동합니다. (로그인이 안될 수 있습니다. 이때는 설정파일(config.inc.php)을 열어 password 부분을 1234로 바꿔줍니다. 아래 수정할 파일 경로와 수정 부분 참조하세요)
이제 DB를 생성하겠습니다. '새로운'을 클릭하여 DB를 생성창을 열고, testDB라고 DB 이름을 부여한 후, 인코딩 방식을 아래와 같이 설정해주고(default), 만들기를 클릭해줍니다.
삽입 창에서 적당히 데이터를 입력해 줍니다.
이렇게 기본적인 테스트 테이블 및 데이터를 생성하였습니다.
2. Flask APP 구성
Flask App의 구성은이렇게 생겼습니다. 아래의 구성에 따라 파일들을 생성해 줍니다. 폴더구조 내부의 파일들은 차근차근 생성해 갈 예정이므로 폴더 트리를 먼저 구성해 줍시다.
다음으로는 Flask 와 MySQL DB연동을 위한 pymysql 모듈을 설치합니다.
pip install Flask
pip install pymysql
그리고 이제부터 내부 파일들을 구성하도록 하겠습니다.
(1) start_app.py:
프로그램 시작점입니다. 내부에서 app을 import 하는 것만으로도 __init__.py를 자동으로 구동하게 됩니다.
from app import app
app.run(host='0.0.0.0') # 127.0.0.1
(2) __init__.py :
본격적인 Flask 앱입니다. 주로 라우팅 관련 설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아직은 '/' 루트로 연결 요청에 대해 'home.html'로 연결하는 1개의 라우팅밖에 없습니다.
from flask import Flask, render_template
from app import mod_dbconn
app = Flask(__name__)
@app.route('/')
def home():
return render_template('home.html')
if __name__=='__main__':
app.run(debug=True)
from app import app
from flask import Flask, render_template
from app import mod_dbconn
app = Flask(__name__)
@app.route('/')
def home():
return render_template('home.html')
# 여기부터 추가
@app.route('/db')
def select():
db_class = mod_dbconn.Database()
sql = "SELECT id, name \
FROM testDB.members"
row = db_class.executeAll(sql)
print(row)
return render_template('db.html', resultData=row[0])
# 여기까지 추가
if __name__=='__main__':
app.run(debug=True)
from app import app
데이터 흐름으로 보자면...이렇게 되겠네요^^. 즉 '/db' 접속 요청이 들어오면 해당 라우터를 찾아 select()함수를 실행시키는데, 우선 Database로부터 sql에 해당하는 data를 받아서 row에 저장시키고, 이를 resultData라는 변수에 할당하여 db.html로 함께 넘겨줍니다.
그런데, 아파치를 설치 했음에도 에러가 발생할 확률이 높습니다. 중간 부분에 아파치가 설치되지 않았다는 문구가 있을 겁니다. 그럴 때에는 아래와 같이 입력하여 아파치를 인식시켜줍니다. "F:\Apache24"부분은 각자의 apache 경로로 하시는거 주의하세요^^
set "MOD_WSGI_APACHE_ROOTDIR=F:\Apache24"
3. mod_wsgi 설치 관련 C++ 컴파일러 설치
여기서부터가 본격적인 시작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리눅스 환경에서는 구성하기가 나름 쉬운 것 같은데, 윈도우 환경에서는 조금 까다롭습니다. 아직은 여전히 pip install mod_wsgi를 해도 빨간 에러가 계속 나올겁니다. 이제 C++ 컴파일러를 설치해야 합니다. VC++ 14.0 이상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고 합니다. 인터넷 검색하셔서 VC Build Tools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찾기 어려울까봐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파일 올립니다.
이거 깔고 pip install mod_wsgi 이렇게 설치하시면 아마 될겁니다. 그 다음에도 안되는 다른 사이트 좀 더 살펴보시기 바랍니다...저는 여기까지만...ㅠㅠ
다른 OS의 경우에는 F:\Apache24\modules\mod_wsgi.so 파일이 생성된다는데, 윈도우는 좀 다릅니다. 설치하고 나면 위 경로와 같이 Python 설치 경로의 Scripts 폴더에 가 보시면 mod_wsgi-express.exe 파일이 있을 겁니다. 제대로 설치 된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4. httpd.conf 파일 설정
다음으로 아파치 환경설정파일을 손을 봐줘야 합니다. 위치는 F\Apache24\conf\httpd.conf 이고 넣을 내용은
mod_wsgi-express module-config
라고 치면 나오는 내용을 복사해 넣습니다.
파이썬이 C:\program Files\Python38 을 사용하고 있는줄 알았는데, 아나콘다에서 다시 설치한 버전이 있었네요. wsgi는 다른 곳에 딸렸는데, 실행은 anaconda 버전으로 한다??...ㅠㅠ. 암튼 그 내용을 httpd.conf에 넣어줍니다.
파일을 열면 내용이 엄청 많은데, LoadModule 뒷부분에 바로 이어서 넣어주면 됩니다.
위 그림에서 WSGIScriptAlias / "D:/05_Program_dev/04_python/04_flaskapp/httpd.wsgi" 부분은 잠시 뒤에 설명하겠습니다.
- LoadFile과 LoadModule 부분은 mod_wsgi 모듈을 로드하기 위한 부분이고
- WSGIPythonHome은 파이썬 실행파일이 있는 폴더를 인식시켜주는 부분입니다.
5. httpd.wsgi 작성
실제 앱을 구동시킬 wsgi파일을 구현합니다.
import sys
sys.path.insert(0, "D:/05_Program_dev/04_python/04_flaskapp")
from app import app as application
필자의 앱은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있는데, 위 코드의 sys.path.insert의 두번째 인자는 이 flask앱 폴더(04_flaskapp)를 경로 포함하여 넣어주면 되고, 임포트 하는 부분에서는 내부의 앱을 불러오면 됩니다. from app import app 하게 되면 파이썬 특성에 따라 __init__.py가 자동으로 실행되고, __init__.py 내부에 선언한 라우팅에 따라 template들을 출력하게 됩니다.
사실 프로그램 구동을 위한 start_app.py를 실행하려고 했는데 직접 __init__.py를 불러오는 꼴이 되었습니다. 한단계 덜 거치는게 좋은 것도 같은데... 어떤게 좋은 건지는 계속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6. httpd.conf에 연결
위에서 만든 httpd.wsgi를 아파치 서버에서 실행하도록 연결해 주려면 아까 수정하던 httpd.conf를 사용하여 인식시켜줘야 합니다.
라우팅 "/" 로 들어오는 경우에는 "D:/05_~~~~.wsgi"를 실행한다 정도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
....
......
다른 블로그들을 보면 <Directory> <Files> 등을 설정하는 부분이 있는데, 현재로서는 의미를 잘 모르고, 이렇게만 해도 인식이 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아래는 이것저것 시도해보았지만 잘 안된 부분인데, 주요 인자가 있어서 혹시 필요한 경우를 대비해 기록으로 남겨놓을 까합니다.
LoadFile "c:/programdata/anaconda3/python38.dll"
LoadModule wsgi_module "c:/programdata/anaconda3/lib/site-packages/mod_wsgi/server/mod_wsgi.cp38-win_amd64.pyd"
WSGIPythonHome "c:/programdata/anaconda3"
<VirtualHost *:80>
ServerName localhost
WSGIScriptAlias / "D:/05_Program_dev/04_python/04_flaskapp/httpd.wsgi"
<Directory "D:/05_Program_dev/04_python/04_flaskapp/">
Options Indexes FollowSymLinks
AllowOverride None
Require all granted
</Directory>
<Directory "D:/05_Program_dev/04_python/04_flaskapp/app">
WSGIApplicationGroup %{GLOBAL}
Order deny,allow
Allow from all
</Directory>
</VirtualHost>
<IfModule wsgi_module>
## 웹서비스 "/" 경로에 wsgi 인터페이스 경로 지정
WSGIScriptAlias / /apps/python/src/flask/httpd.wsgi
## Python app 프로세스 실행 환경 설정
WSGIDaemonProcess app user=python group=apps threads=1
</IfModule>
## Python app 서비스를 위한 app source 경로 권한 설정
<Directory "/apps/python/src">
Options Indexes FollowSymLinks
AllowOverride None
Require all granted
</Directory>
<Directory /apps/python/src/flask>
WSGIApplicationGroup %{GLOBAL}
Order deny,allow
Allow from all
</Directory>
VirtualHost *:80 => 호스트를 지정하며 포트는 80포트를 사용한다. 포트가 겹쳐도 호스트가 다르기 때문에 상관없다.
ServerAdmin => 서버의 주인.
ServerName => 서버의 주소. 이 주소를 통해서 접근.
ServerAlias => 축약된 형태로 접근할 별명.
ErrorLog => 서버 접근시 일어는 에러 메시지를 기록하는 파일을 정한다. 이 속성을 정했다면 반드시 해당폴더가 존재해야한다.
CustomLog => 서버 기록을 기록하는 파일을 정한다. 이 속성을 정했다면 반드시 해당폴더가 존재해야한다.
WSGIDaemonProcess => wsgi를 데몬으로 실행시킬 때 프로세스 이름. 사용자 정의 가능
WSGIProcessGroup => wsgi프로세스 그룹이름. 사용자 정의가능
WSGIScriptAlias => wsgi를 실행시킬 스크립트의 위치. 우리가 만든 파일의 위치를 지정해준다.
Alias => 특정 파일의 별면. 보통 static으로 해야 하는데, 이는 WAS가 static에 접근해야하기 때문